• 파주시, 2026년‘인공지능(AI) 행정도시’로 도약… 24개 사업에 30.9억 원 투자
  •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시민중심 파주, 100만 자족도시로


  • 파주시가 인공지능(AI) 행정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시는 지난 1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2026년에 총 30.9억 원의 시 예산을 투입하는 24가지의 인공지능(AI) 활용 사업 추진 계획안을 보고했다.

    파주시는 '인공지능(AI)과 함께하는 시민중심 더 큰 파주, 100만 자족도시로의 도약'을 미래 청사진으로 내걸고 2024년부터 ‘인공지능 행정도시 추진사업’을 추진해왔다. 2024년부터 2027년까지 4년에 걸쳐 추진되는 이 사업의 총예산 규모 52.5억 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행정업무 자동화 및 효율화 분야의 예산 비중이 30.4%로 가장 크다.

    시는 이번에 발표된 2026년도 사업의 핵심 전략으로 행정신뢰성 강화, 인공지능(AI) 기반시설 민간 제공, 인공지능(AI) 산업 생태계 조성, 시민 참여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발굴 등 네 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시는 국산 거대언어모델(LLM)을 행정에 적용한 ‘파주 행정 독자 인공지능(소버린AI) 체계’를 확립하고, 중소기업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시설을 지원해 지역 인공지능(AI) 전환을 촉진한다. 또한 시민이 직접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행하는 인공지능(AI) 정책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는 우선적으로 ‘파주행정 독자 인공지능 체계’ 구축, 인공지능(AI) 로봇 재활치료사업을 비롯한 다섯 가지 핵심사업을 선정해 올해 중 곧바로 실무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첫 번째는 ‘독자 인공지능(소버린 AI) 체계’를 구축해 국산 거대언어모델을 행정에 적용, 인공지능(AI) 행정 표준모델 완성하는 것이다. 행정 문서 작성과 민원 응대, 정책 분석 등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두 번째는 ‘인공지능(AI) 로봇 재활치료’ 사업을 통해 장애인과 노인의 회복을 지원하는 것이다. 운정 다누림 노인·장애인복지관을 거점으로 한 이 사업을 통해 의료·복지 분야 인공지능(AI) 활용사업의 선도 모델을 구축해 전국 확산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세 번째는 인공지능 물 사용량 관리 시스템(스마트미터링)과 전기차 화재 감지 시스템 도입이다. 상수도 사용량을 실시간 관리하고, 전기차 화재·침수를 사전에 탐지하는 서비스로 시민의 생활 편의를 개선하는 동시에 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네 번째, ’인공지능(AI) 실종자 고속검색 서비스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실종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해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할 안전망을 한층 더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마지막으로, 농업·축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 스마트 축산을 적극 지원한다. 이를 통해 파주를 미래형 디지털 축산 혁신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한 기반을 다져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AI) 재난 감시 영상 분석 ▲스마트 돌봄 인형(효돌e) ▲도서관 인공지능(AI) 챗봇 ▲메타버스 기반 심리상담 ▲인공지능(AI) 청년 미디어 동아리 등 시민 생활 속 체감형 서비스가 추진된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인공지능(AI)은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시민이 체감해야 하는 공공 자산”이라며 “2026년은 파주가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 행정도시 모델을 확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손성숙기자

  • 글쓴날 : [25-09-12 10:21]
    • GPN 기자[2999man@naver.com]
    • 다른기사보기 GP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