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 시민은 청사순례중인데…백석별관은 텅 비어 있다?
  • 민원인은 동선혼란, 행정은 분산비효율...‘100만 도시’역행하는 청사구조
  • 교통 ‧ 주차 ‧ 공간 다 갖춘 백석별관...비워둔 채 9.4억 임차료는 계속 지출 중

    65억 예산 삭감...공공자원 최적화 한계로 시민 불편과 예산 낭비 계속돼

     

    고양특례시가 행정 효율성 제고와 시민 민원 불편 해소를 위해 추진한 백석별관 부서 재배치 계획이 지난 3월 시의회의 예산 삭감으로 전면 무산됐다. 이에 따라 민원인들이 흩어진 부서를 찾아 여러 청사를 오가는 불편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고양시는 인구 108만 명의 대도시로, 전국 5개 100만 특례시 중 하나다. 그러나 현재 시청 본관은 1983년 고양군 시절에 건립된 노후 건물로 공간이 협소하고 시설도 낙후돼 있다. 시청 부서는 본관과 신관, 1·2·3별관, 백석별관, 8개 임차 청사를 포함해 총 14개 건물에 분산돼 있다.

    이로 인해 민원인들은 관련 부서를 찾기 위해 여러 건물을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주차 공간 부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매년 5.5~6천 억원 예산을 집행하는 사회복지국은 장애인과 노인, 아동 등 취약계층 민원이 집중되는 부서임에도 불구하고, 5개 부서가 국장실 포함 9개 공간에 나뉘어 있어 민원인이 담당부서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민선 8기 핵심 공약을 추진하는 자족도시실현국 역시 4개 과가 각기 다른 공간에 흩어져 있어, 글로벌 이슈나 긴급 현안 발생 시 부서 간 협업에 지장이 우려된다. 청사 보안을 담당하는 청원경찰들 역시 방호 임무 외에 청사 간 이동 안내 업무까지 맡고 있어 과중한 업무 부담을 안고 있다.

    이에 고양시는 사회복지국 등 7개 실·국과 3개 담당관 등 총 30개 부서를 백석별관(일산동구 중앙로 1020)으로 통합 재배치하는 계획을 세웠다.

    총 사업비는 65억 원으로, 관련 부서 간 물리적 거리를 줄여 행정 효율을 높이고 시민 불편을 해소한다는 취지였다. 재배치 후에는 본청 주변 부서들도 보다 편리한 동선으로 재정비될 예정이었다.

    백석별관은 연면적 66,189㎡ 규모로 541면의 주차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지하철 3호선 백석역과 인접해 시민 접근성이 뛰어나다. 시 중심부에 위치해 민원 편의 증진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또한, 중앙집중식 냉난방 시스템과 고효율 LED 조명을 도입해 기존 임차 건물 대비 유지관리 비용 역시 크게 절감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시의회는 지난 3월 제1회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관련 예산 65억 원 전액을 삭감했다.

    시는 이번 삭감으로 인해 백석별관의 장기 미활용은 지속되고, 12월 만료되는 임차 청사의 계약 연장으로 수억 원 예산이 추가로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시가 임차 청사에 지출하는 연간 임대료만 약 9.4억 원에 달한다.

    또한 청사 재배치에 따라 관리비·공공요금 등 약 4억 원(2024년 지출기준) 청사관리 예산의 절감도 기대했으나 현실화 되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예산 미반영으로 인한 사업 차질은 매우 아쉽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관련 특위에서도 백석 업무빌딩 장기 미활용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지적한 만큼 시의회와 긴밀히 협의해 시민 중심의 효율적인 청사 운영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손성숙기자

  • 글쓴날 : [25-05-08 09:50]
    • GPN 기자[2999man@naver.com]
    • 다른기사보기 GP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